몽고(MongoDB) Document(Row) 자동 소멸 (TTL) 걸기
IT/NoSql
2019. 5. 2. 16:26
728x90
몽고디비 로우 자동소멸(TTL) 걸기
몽고디비에서 DOCUMENT 별로 TTL(TIME TO LIVE)을 사용하여 자동소멸이 가능합니다
저는 studio 3t라는 툴을 사용하여 적용해보았습니다.
해당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첫번째로 collection에 인덱스를 설정해야합니다.
두번째로는 document에 date 타입의 현재시간을 담을 필드가 필요합니다.
위의 사진은 collection에 처음 이야기했던 인덱스 설정 화면입니다.
이 부분에서 중요한 것은
document의 date타입을 담을 필드명과 동일하게 인덱스를 지정해야합니다.
그리고 expire after라는 속성이 있는데요.
저는 일주일 후에 소멸시키기 위하여 604800초를 입력했습니다.
(초 기준이므로 60 * 60 * 24 * 7 )
자동소멸을 위해 지정한 document입니다. expire라는 필드에 현재시간을 담았습니다.
이렇게 지정하면 몽고디비에서 자동적으로 해당 document가 일정시간이 지난 후
자동소멸됩니다
감사합니다.
'공감' 및 '좋아요'는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됩니다!
'IT > No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몽고디비 mongodb 설치 및 실행 방법 (Centos 6 rhel) (0) | 2018.10.10 |
---|---|
[카우치베이스] 데이터 백업 및 데이터 복원 (0) | 2018.03.15 |
[카우치베이스] 서버 4.5 제거 후 5.0 버전 업그레이드(Commutity) (0) | 2018.03.15 |
[카우치베이스] 리눅스 서버에서 카우치베이스 서비스 Start, Stop, Restart (0) | 2018.03.15 |
[카우치베이스] Couchbase 운영 중 이슈 정리 (1) (0) | 2018.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