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터미널은 접속 후 sudo vi /etc/profile 에서 제일 마지막 줄로 갑니다. 아래 코드를 입력 후 저장 if [ $(tty) == "/dev/tty1" ]; then clear vncserver -geometry 1980x1080 fi 시스템 재부팅시 vnc서버를 활성화 합니다.
삼바를 설치합니다. sudo apt-get install samba 설치가 완료된 후 설정파일을 수정합니다. sudo vi /etc/samba/smb.conf smb.conf 파일에서 [homes] 섹션을 찾습니다. 이 섹션에서, read only = no를 추가하여 읽기 및 쓰기 권한을 부여합니다. 아래 그림은 no로 수정한 화면입니다. [share] comment = Shared Folder path = /home/pi/shared browseable = yes read only = no create mask = 0777 directory mask = 0777 valid users = @users share라는 path의 폴더를 공유하는 프로퍼티를 추가합니다. sudo smbpasswd -a pi s..
GUI에서 설정하는 법 "Raspberry Pi Configuration"을 선택하고, "Localisation" 탭을 클릭합니다. "Set Locale" 버튼을 클릭합니다. 로케일 창에서 "ko_KR.UTF-8 UTF-8"을 선택하고,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Set Default" 버튼을 클릭합니다. "Yes" 버튼을 클릭하여 설정을 저장하고,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터미널 sudo locale-gen ko_KR.UTF-8 #한글로 업데이트 합니다. sudo update-locale LANG=ko_KR.UTF-8 한글폰트 설치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fonts-unfonts-core sudo apt-get install ibus ibus-h..
해당 글은 라즈베리파이에서 ssh를 연결했다는 가정하에 진행합니다. sudo apt update # vnc server 설치 sudo apt install realvnc-vnc-server # 라즈베리파이 설정 변경 sudo raspi-config config에서 "Interfacing Options" -> "VNC"로 이동하여 VNC 서버를 활성화합니다. 설정 후 vncserver를 활성화 합니다. vncserver -geometry 1980x1080 설치를 완료하면 아이피와 포트가 활성화됩니다. mac에서 vnc 클라이언트 설치하기 https://formulae.brew.sh/cask/vnc-viewer brew install --cask vnc-viewer 설치가 완료 된 후 윈도우 상단에 ip와 ..
https://www.oracle.com/kr/cloud/free/ 클라우드 서비스 무료 이용 Oracle Cloud Free Tier는 기업에게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시 무료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www.oracle.com 오라클에서 무료로 지원하는 서버가 있어서 소개합니다. 크레딧 카드 입력 후 https://cloud.oracle.com/?region=ap-seoul-1 Oracle Cloud Infrastructure cloud.oracle.com 간단한 가입 절차 이후 사용가능. 리소스는 위의 사진과 같습니다. vm 하나 생성하였는데 간단한 어플리케이션을 올릴수 있겠네요. 언제 사라질지 모르니 미리미리 가입해봐요~
nginx 로그를 카프카로 전송에 용이하게 로그를 json 구조로 남길 필요가 있었다. json 구조로 남기는 부분을 기록한다. nginx에서 지원하는 변수 리스트 http://nginx.org/en/docs/varindex.html Alphabetical index of variables nginx.org nginx 로그 sample http://nginx.org/en/docs/http/ngx_http_log_module.html#log_format Module ngx_http_log_module Module ngx_http_log_module The ngx_http_log_module module writes request logs in the specified format. Requests are ..
OutOfMemoryError 발생시 자동으로 Heap 덤프를 생성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CATALINA_OPTS="$CATALINA_OPTS - XX:+HeapDumpOnOutOfMemoryError" export CATALINA_OPTS 생성된다면 확장자명은 .hprof 형식으로 생성됩니다. 힙덤프 생성시 주의해야 할 점은 OutOfMemoryError 발생시 덤프가 생성되는 동안 시스템이 기동되지 않는 다는 점을 알고 설정해야합니다.
지난 포스트가 궁금하시다면 ↓↓↓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 ERMaster (erd를 쉽게 다루는 툴 erwin가 다름, 이클립스 플러그인) jConsole은 자바에서 무료로 지원하는 모니터링 툴입니다. jdk 1.5버전 이상부터 지원되며 아래 이미지 처럼 자바 경로안에 존재합니다. jConsole을 실행하면 실행이 되는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이제 모니터링을 실행할 로컬쪽은 끝났으며 서버쪽에 세팅해야 합니다. 1. 일단 서버쪽에 jConsole을 사용하기 위한 라이브러리를 등록하자. 해당 파일을 다운받아도 되고(tomcat7) 아파치 톰켓7 다운로드 로 접속하여 빨간색으로 표시된 파일을 다운받으면 된다. 다운 받은 파일을 실제 사용하고있는 tomcat 서버 위치로 이동한다. 해당파일을 톰켓서..